세균성 도관병
병원체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세균의 형태는 1~2x0.8 ㎛의 간상이며 끝이 둥글며 한 개의 편모를 가지고 있다.
병반이 잎 가장자리의 한쪽 또는 양쪽에 형성되어 진전되며, 잎 가운데 부분까지 번져 물결모양의 병반으로 확대되고, 황색으로 변하던 것이 점차 퇴색되면서 황백색으로부터 백색-회백색으로 변하고 제2차 기생균의 기생에 의해 더러워진 색으로 변하게 된다.
기주식물 벼, 겨풀, 나도겨풀, 줄풀 등
강우 많은 양의 비가 올 때 특히 7월의 강수량 200㎜ 이상, 바람은 15 m/sec 이상시 대 발생
침수 12시간 참수 시 8.8 %의 발병률을 보이던 논이 48시간 침수 시 72.7 %라는 높은 발병률
강풍 강한 바람을 동반 시 더 심한 피해를 입게 되는데 이는 침수에 의한 병원균의 용이한 침입과 바람에 의한 상처 및 이병엽과의 접촉 등이 병의 대 발생을 쉽게 하기 때문이다.
침수와 방제 재배후기나 출수 20일경 주위의 재배 논에 병발생을 볼 수 없을 때 침수시는 약제방제를 굳이 할 필요는 없으며, 혹시 병이 발생하여도 수량에 미치는 영향은 5% 정도의 피해 수준이다. 따라서 침수되었다고 전부 발병하는 것이 아니라 물 속의 병원균의 존재 여부, 병원균의 농도에 따라 발병상황이 변하므로 태풍 및 침수 시 박테리오파지 밀도 분석과 전년도 발병여부, 현재의 발병상황 등을 고려하여 방제 여부 결정
|
★ 흰잎마름병(百葉枯病, Bacterial Leaf Blight, BLB)
❚ 병원체 • 그램 음성으로 포자는 가지지 않는다. 균체 표면은 끈적끈적한 다당류의 점질액 (캡슐)으로 싸여 있으며 여럿이 뭉치면 이러한 캡슐이 가뭄 등의 극심한 환경 변화에서 세균이 좀더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게 한다. • 비교적 느리게 자라는 균이나 영양배지에서 노란색을 띤 둥글고 매끄러운 집락 (콜로니)을 3~4일 정도면 형성한다. • 균의 생육가능온도는 5~10℃, 최적 생육온도는 26~30℃ 증식에 필요한 영양원이 없을 때는 20℃에서 약 20일간, 30℃에서 수일간 생존 • 병반으로부터 생긴 건조 균괴의 세균은 외부가 세균이 생산한 다당류의 점질에 의해 보호되므로 자연환경의 이병 볏짚이나 기타 기주식물인 겨풀 등의 이병식물체에서 8개월 이상 생존이 가능하다.
❚ 병 증상 • 출수기를 전후한 시기에 주로 잎에 발생하며, 처음에는 잎의 선단부나 가장자리에 황록색의 수침상 병반이 생기고, 진전되면 잎 가장자리에 흰 줄무늬가 형성된다. • 병든 잎은 회백색으로 말라죽는다. • 병징은 엽신 및 엽초에 나타나며, 벼알에서도 발생 묘판 후기에 하엽의 침윤상의 적은 병반이 나타나며, 표면에 세균분출이 마른 점괴가 형성. 병반은 수일 후 황색으로 변하고, 선단부터 하얗게 건조되고 급속히 잎이 고사 • 이앙 후 20~30일경부터 분얼 최성기까지는 묘가 갑자기 말라서 고사하며, 뚜렷한 병징은 없으나 잎의 가장자리나 잎 끝에 좁쌀보다 작은 점괴가 보임 • 분얼최성기 이후에는 발생되지 않는 것이 특징. 전년도 발생이 심하였던 곳에 묘를 재배하였을 때는 묘판에 병원균이 침입하여 기부에서 병원균이 증식, 도관 부위를 폐쇄시키므로 갑자기 시드는 현상을 보인다. 분얼최성기 이후 본답에서 나타나는 병징은 성숙된 하엽에서 시작. 병반은 엽신으로부터 5~6 cm 아래의 잎가장자리에 침윤상의 작은 병반이 생기며, 이 병반 표면에 아침이슬이 맺힐 때 보면 옅은 우유색의 이슬이 맺히며, 이것이 마르면 황색의 점괴가 된다. • 점괴는 바람에 의해 수면으로 떨어져 제2차 전염원이 된다. 병반은 2~3일 후 확대되어 황색 등황색이 되고, 상하로 번지며 폭도 늘어나 건전부와 경계는 침윤상으로 된다.
❚ 전염 및 발병 • 평균기온이 22~26℃(7월 상순~8월 중순)이며, 풍속 3m/sec 이상의 태풍이 왔을 때, 벼가 물에 잠겼을 때 발병이 심해진다. • 발병환경: 배수가 나쁜 저습지, 여름의 낮은 기온, 지온의 급격한 변동, 짙은 안개, 7월 평균 기온 22~24 ℃, 많은 강우, 침수의 장기화, 강한 바람, 벼의 상처, 질소질 과다 • 관개 수로나 저수지내의 기주식물로 알려진 겨풀, 줄풀, 나도겨풀이 상존시에는 너무 많은 물을 넣지 않도록 함 • 지난해 병에 걸린 볏짚을 시용할 경우 발병이 심해진다. ❚ 방제방법 • 이앙 전에 논둑 및 수로의 기주잡초 제거, 배수로 정비 • 세균병은 대부분 물에 의한 전염되므로 침수되지 않도록 하고, 침수시 빠른 시일 내에 배수시켜 병원균과의 차단한다. • 병원균이 도관 내에 증식하므로 약제침투 방제효과는 낮다. • 태풍, 호우, 우박, 강풍 통과 전후 방제 • 6월 하순 이전 및 이삭 팬 10일 이후는 약제 방제를 피한다.
❚ 적용약제 • 이앙전 상자처리제 : 다카바-에스, • 적용약제 티아디닐 함유약제 상자 살포: 훼나진, 몬세렌(수) 동시방제 약제: 솔라자, 골드미, 아리킬트 등 논브라(수), 논사랑(액상), 꽃가마․사보라․가마니, 무진장, 논카바, 논브라․나시랑․풍악․논사랑, 누비라․가마니에프, 달인, 골드미, 넘보원, 솔라자, 아리킬트 등
❚ 흰잎마름병 약제별 사용시 주의사항 • 테람(수):〔시라겐, 테람, 삼공테람, 경농테람, 추미나〕 벼품종이 일품일 경우 약해 발생 벼가 출수한 이후에는 약해의 우려가 있음 • 훼나진(수):〔경농훼나진, 돈대네〕 이삭팰 때의 살포는 약해의 우려가 있음 약제살포시 사용농도를 지키고 과량살포 금지
|
오갈병_병해13 (0) | 2013.04.10 |
---|---|
세균성벼알마름병_병해12 (0) | 2013.04.09 |
깨씨무늬병_병해10 (0) | 2013.04.05 |
이삭누룩병_병해9 (0) | 2013.04.04 |
줄무늬잎마름병_병해8 (0) | 2013.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