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깨씨무늬병_병해10

농사일/이천쌀 재배매뉴얼(2013)

by 종이인형 꿈틀이 2013. 4. 5. 11:24

본문

 

 

 

 

 

병원체

Cochliobolus miyabeanus

(무성세대: Bipolaris oryzae)

 

자낭

곤봉형 or 원통곤봉형, 곧고 약간 휘어진 상태, 겹막

 

자낭포자

투명하고 엷은 올리브 갈색, 실모양 또는 편모상으로 중앙이 넓고 양극으로 가늘어진다. 8~12 개의 격막이 있으며, 점액질의 포피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으며 자낭 안에 나선형으로 포개져 있다.

분생자경

격막이 있고 길이는 약 600 ㎛, 폭 4-8 ㎛이다.

 

분생포자

거의 원통형이며 일반적으로 휘어져 있으며 엷은 갈색내지 황갈색이며 6~14개의 격막을 가지고 있음. 한쪽 또는 양쪽 끝세포로부터 발아한다. 이 곰팡이는 ophiobolin이라고 하는 비기주 특이적 독소를 생성한다.

 

기주식물

벼, 겨풀, 나도겨풀, 줄풀 등

 

 

 

증상

도열병과 같이 이삭 끝부터 빠르게 침해되는 백수가 되는 일은 없다.

 

 

 

무기성분 결핍

깨씨무늬병은 무기성분의 결핍이 주요 원인이므로 경토가 얕은 논이나 누수가 심한 사질토답에서는 질소, 인산, 칼리 등 무기성분이 손실되지 않도록 여러 차례 나누어 시비한다.

 

 

 

★ 깨씨무늬병(胡麻葉枯病, Brown spot))

 

발생생태

• 조기 조식재배와 재식본수가 많을 경우에 발생이 많으며 토양이 환원상태로 되어 질소, 인산, 가리, 마그네슘, 망간, 철 등이 용탈한 노후화답, 근부를 일으키기 쉬운 이탄토, 양분 유실이 쉬운 사질토, 양분 보지력이 적은 경토가 얕은 토양에서 발생이 많다.

• 잎은 아랫잎일수록 발병되기 쉬우나 벼알은 출수 직후일수록 발병되기 쉬우며, 나머진 출수 후 경과됨에 따라 발병

• 수잉기~호숙기는 적으나 수확기에 현저하게 증가. 수량에 영향하는 이삭의 최종 발병시기는 출수 후 25일까지이며, 이삭에 전염원으로 되는 분생포자는 지엽으로부터 3~4 엽위의 병반에서 주로 형성된다.

 

 

 

병 증상

• 잎에 초기에는 갈색 내지 암갈색 작은 점무늬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병반이 타원형으로 확대되면서 병반 주위는 황색을 띄고 겹무늬를 형성한다.

• 이삭, 줄기의 마디, 이삭의 주경에도 갈색 내지 암갈색의 작은 병반이 나타나며, 병든 이삭은 마름증상을 나타내어 수량이 감소하고, 벼의 품질을 떨어뜨린다.

• 발병이 심하면 벼의 지엽까지 병반이 발생한다.

 

 

 

 

방제

• 객토 , 퇴구비, 가리, 규산, 등의 시용이 발병 경감

­ 질소질 성분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함철자재, 특히 철, 망간, 마그네슘 외에 가급태 규산을 공급하고 토양을 개량해서 비료성분의 보지능력을 높여 벼의 후기생육을 건전하게 하여 발병이 경감된다.

• 비료를 나누어 시비하고 심경하여 장기간 안정하게 생장유지

• 방제시기

­ 도열병의 방제 적기보다 약간 늦은 시기에 살포하는 경우가 효과가 높으며, 수잉기~출수전 적기(발병초부터 7일 간격으로 2회 살포)

• 방제약제

­ 훼림존·라브사이드수화제(사보라, 가마니) 훼림존·트리졸수화제(논브라), 이프로디온·가벤다짐액상수화제(카리단), 올타, 사보라수화제

 

반응형

'농사일 > 이천쌀 재배매뉴얼(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균성벼알마름병_병해12  (0) 2013.04.09
흰잎마름병_병해11  (0) 2013.04.08
이삭누룩병_병해9  (0) 2013.04.04
줄무늬잎마름병_병해8  (0) 2013.04.03
키다리병_병해7  (0) 2013.04.02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