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줄무늬잎마름병_병해8

농사일/이천쌀 재배매뉴얼(2013)

by 종이인형 꿈틀이 2013. 4. 3. 10:00

본문

 

 

 

 

 

 

 

 

 

 

 

 

 

 

병원체(RSV)

Rice stripe tenuivirus

나무가지형 바이러스로서, 입자의 크기는 400x8nm

 

 

기주식물

벼, 보리, 밀, 옥수수, 조, 귀리, 이타리안라이그라스, 피, 바랭이, 방동사니, 방동사니대가리, 넓은잎개수염 등 21종

 

감수성 품종

추청, 농안, 봉광

저항성 품종

주남, 화성, 대안

 

 

 

발생상황

2001년 김포, 시흥, 화성 등 서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발생

2002~2005년 : 일부 지역에서 경미한 증상만 나타남

2006년: 유수형성기 이후 발생 심함

2007~2008년: 대부분 지역에서 발생하였으나 매우 경미한 증상만 나타남

2009년: 서해안 지역에 대발생

 

 

 

 

월동율

해에 따라 월동율은 25~90%로 차이가 크다.

 

 

 

병징 시기

묘판 말기 or 6월경

7월말~8월초 최성기

 

 

 

 

 

 

방제시기

줄무늬잎마름병 증상이 나타난 후에는 치료가 안되기 때문에 반드시 애멸구를 방제해야 하므로 벼포기를 털어보아 물위에서 톡톡 튀는 애멸구가 보이는 논(포기당 3마리 이상)은 가급적 효과가 빨리 나타나는 물약(유․액․수화제)으로 신속히 방제

 

 

★ 줄무늬잎마름병(縞葉枯病, Stripe)

 

❚ 병 증상

• 유묘기: 새로 나온 잎이 황색으로 변해 말리고 늘어지며 말라죽음

 

 

• 본답 초기: 잎의 기부에 황록색 반점이 나타나고 이후에 나오는 잎에는 황색 또는 흰색의 세로 줄무늬가 생긴다.

 

 

생육 후기: 잎에 노란 줄무늬가 생기고 이삭이 나오지 않으며, 이삭이 나오더라도 기형이 되거나 쭉정이가 된다.

 

 

 

 

❚ 발생생태

• 병에 걸린 벼의 즙액을 빨아먹은 애멸구에 의해 전염

애멸구가 약충태로 월동하여 연 5세대 발생

• 성충으로 3~4월경 맥류, 잡초 등 다른 기주식물에 기생한 후, 5~6월에 본답 초기 벼에 착생하여 본격적으로 전염

• 모판 말기인 7엽기까지 감염되며 9엽기까지는 절반이 고사

 

다발생 조건

• 중국에서 애멸구의 비래량이 많거나 월동율이 높을 때

• 병균을 가지고 있는 애멸구의 발생비율이 높을 때

• 2~3월, 5~6월에 기온 높고 강우 적어 일사량이 많을 때

• 논주위의 논두렁, 제방, 밭 등에 애멸구가 좋아하는 화본과 잡초 또는 작물이 많을 때

 

애멸구 약충 

애멸구 성충 

 

❚ 방제

• 매개충인 애멸구를 방제(벼물바구미 방제시 동시방제)

• 질소비료 과용 회피, 저항성 품종 재배, 병든 식물 제거

• 매개충 서식처인 논둑, 제방의 잡초, 보리, 밀 등의 관리

• 잡초가 많은 논둑, 보리재배 인근지역의 모판 설치 금지

• 적용약제

­ 상자처리제: 다카바-에스

• 마샬․카보입제, 박멸탄․에니원 수면전개제, 명타자․세베로, 코니도, 빅카드, 청실홍실, 만장일치, 후라단, 큐라텔, 카보단, 카보텔 등

 

반응형

'농사일 > 이천쌀 재배매뉴얼(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씨무늬병_병해10  (0) 2013.04.05
이삭누룩병_병해9  (0) 2013.04.04
키다리병_병해7  (0) 2013.04.02
잎집무늬마름병_병해6  (0) 2013.04.01
도열병_병해5  (0) 2013.03.29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