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봄의 길라잡이 버들강아지_포토기사

농사일/농업&농촌

by 종이인형 꿈틀이 2006. 4. 1. 11:23

본문

 

   버들강아지의 매력에 빠져보자!

 

▲ 하늘에서 내려온 봄 선녀 버들강아지
ⓒ 박종인
하늘에서 봄소식을 가지고 내려온 선녀는 갯버들의 꽃에 머물렀다. 보송보송한 겨울 꽃눈은 하얀 솜털을 벗고 깜찍하고 앙증맞게 피어났다. 갯버들을 통해 노랗고 붉고 까만 암술과 수술이 꽃잎보다 더 우아하다는 걸 알게 되었다. 갯버들의 꽃눈은 복슬복슬 강아지처럼 귀여워 버들강아지(버들개지)라 부른다.

ⓒ 박종인

ⓒ 박종인
버드나무는 여인의 나무다. 중국의 장조(張潮)는 “버들은 만물 가운데서 가장 사람의 마음을 때리며 감상적으로 만든다”고 했으며, 또한 “미인은 꽃 같은 얼굴을 갖고 있어야 하고, 새 같은 목소리에, 달의 혼, 버들가지 같은 몸매, 가을 호수 같은 맑은 아름다움, 경옥(硬玉) 같은 뼈, 눈(雪) 같은 하얀 피부, 시(詩)의 마음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임어당(林語堂)은 “솔은 장대한 기품 때문에 뭇 사람들의 환영(歡迎)을 받고, 매화는 낭만적 기품 때문에 만인의 애상(哀想)을 받고, 버들은 날씬한 가인(佳人)을 연상케 히는 기품이 있어 만인의 사랑(愛)을 받는다”고 말했다. 이같이 동양에서는 소나무와 대나무는 선비로, 버들은 여인으로 비유한다.

ⓒ 박종인

ⓒ 박종인
봄에 물기 오른 갯버들의 꽃망울을 굽어보고 있노라면 아리따운 선녀를 마주 대하는 듯 그지없이 기껍다. 그 함함한 솜털엔 감히 손 댈 수 없는 순결함이 배어있고, 붉고 노란 수술의 꽃가루는 숨조차 멈추게 한다.

보기에 아깝고 만지기에 설레는 그 꽃을 꿀벌은 어루만지며 부비고 다닌다. 봄에는 나도 꿀벌이 되고 싶어진다.

ⓒ 박종인

ⓒ 박종인

문득, 어디선가 삐르르~ 버들피리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싸목싸목 다가오는 봄을 재촉하듯 아이들은 버들피리를 불며 봄을 꼬드겼다. 물오른 갯버들 가지를 새끼손가락 길이만큼 토막 내어 살짝 비틀어서 안의 목질부를 빼내면 껍질 대롱이 남는다. 대롱의 한쪽을 납작하게 눌러 겉껍질을 벗겨내면 자연의 피리가 되는 것이다. 꼬맹이들은 산새들과 견주듯 버들피리를 불며 신나게 불며 봄놀이를 했었다.

봄이 되니 사방이 온통 난리다. 명령을 기다리던 병사들이 나팔소리에 뛰쳐나가듯 봄꽃들이 여기저기서 막무가내로 피어난다. 꽃다지, 봄맞이꽃, 제비꽃, 냉이, 별꽃 등은 볕 좋은 양지에서 작고 수수한 꽃을 피우며 봄바람에 살랑거리고, 팬지, 페튜니아, 프리뮬러, 메리골드 등은 크고 화려한 꽃으로 사람들의 눈길을 잡아끈다.

ⓒ 박종인

ⓒ 박종인
시장에 가면 볼거리가 많아 어디에 눈을 둬야 하는지 모르듯 봄에는 어느 꽃에 눈길을 주어야 하는지 모를 정도로 갖은 꽃이 핀다. 무심코 지나치면 눈에 들어오지 않을 버들강아지가 내 눈에 들어와 나를 반하게 한 것은 한 도구 때문이다.

도구란 어떤 기능을 도와주는 보조기구인 것이다. 시력보조도구인 안경을 통해 사물을 보면 모양이 또렷하고 색깔이 선명하게 보인다.

카메라를 통해 꽃을 보면 맨 눈으로 불 수 없었던 그 꽃의 숨은 매력까지도 고스란히 볼 수 있다. 점심식사 후 산책을 하다가 아직 뽀송뽀송한 솜털에 가려진 버들강아지의 겨울 꽃눈을 디지털카메라에 담았는데, 카메라를 통해 보는 버들개지의 모습이 너무 아름다워 틈틈이 디카에 담았다. 디카 도구를 이용하면 작아서 지나치기 십상이고 자세히 볼 수 없었던 것을 세밀하게 또렷이 볼 수 있어 또 다른 흥미와 감탄을 얻는다.

안경과 카메라처럼 좋은 도구가 있어 사물을 선명하고 새롭게 볼 수 있듯이, 각각의 사람들도 가정과 사회에서 도구로 쓰임 받으면 봄날처럼 활기차고 즐거운 세상이 될 것이다.

ⓒ 박종인

 


 

아래의 글은 KTF 굿타임진에 실린 기사인데 사이트가 변경되면서 사진이 연결되지 않아 배꼽만 보인다. 아쉽다. 글만 모아서 다시 흔적을 남긴다.

 

봄이 되면 우리의 눈은 아찔하다.

어디에 눈길을 두어야 할지 갈피를 잡지 못한다.

올 봄에는 화려한 꽃 대신에 작고 앙증스런 꽃눈에 눈길을 줘보자.

4월 봄의 길라잡이 버들강아지를 따라 봄의 산책을 떠나보기로 하자.


겨우내 두터운 털옷으로 꽃을 감쌌다가 꽃샘추위가 염려스러운 삼월에 다른 꽃보다 일찍 꽃을 피우는 버들강아지. 꽃잎이 없어 화려하진 않지만 암술과 수술의 어울림이 그지없이 귀엽기만 하다.


하늘에서 봄소식을 가지고 내려온 선녀는 갯버들의 꽃눈인 '버들강아지'에 머물렀다. 보송보송한 겨울 꽃눈은 하얀 솜털을 벗고, 깜찍하고 앙증맞게 피어났다.

버들강아지를 통해 노랗고 붉은 수술과 암술이 들판의 화려한 꽃보다 더 우아하다는 걸 알게 됐다. 

버드나무

높이 0.5~3m. 사람 키 정도의 높이로 자람. 암수딴그루.

긴 타원형. 길이 7~13cm. 너비 0.3~3cm. 어긋나고 뒷면에 흰털이

나며 끝이 뾰족함.

수꽃 꽃차례는 길이 3~6cm에 붉은빛이 도는 노란색.

암꽃 꽃차례는 길이 2.5~4.5cm에 붉은빛이 도는 갈색.

긴 타원형에 길이 약 3mm. 털이 있음. 정원수, 방수림, 꽃꽂이 재료, 약용으로 쓰임. 

버드나무 종류는 흔히 강가의 습지에서 자라는데, 유독 갯버들만은 물살이 센 개울 근처에서 자란다. 갯버들이라는 이름도 '개울가에 자라는 버들'을 의미한다. 

물살이 센 곳에서도 잘 자라는 이유는 나무껍질의 피층 섬유질이 매우 질기기 때문이다. 그래서 갯버들은 설사 꺾인다 하더라도 여간해서 껍질은 벗겨지지 않는다.

이처럼 강인한 껍질 덕분에 물이 불어나도 상처를 입지 않고 견딜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성질을 이용해서 강가에 방수림으로 심기도 한다.


갯버들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것은 보송보송하게 버들가지에 붙어 있는 겨울 꽃눈이다. 갯버들은 가을에 다음해 봄에 피워낼 꽃의 싹을 만들고 추운 겨울을 나기 위해 이를 따뜻한 털로 감싼다. 


갯버들의 꽃눈은 복슬복슬 강아지처럼 귀여워 '버들강아지(버들개지)'라고 부른다. 이른 봄이 되면 어린 가지는 물이 진하게 올라 연한 초록색을 띠고 꽃눈이 유난히 하얗게 된다. 

삼월 중순쯤 되면 겨울눈은 부풀러올라 다른 꽃나무들보다 훨씬 빨리 꽃망울을 터뜨리기 시작한다. 날이 더욱 따뜻해지면 차츰 짙은 녹색으로 변하며 털도 없어진다. 버들강아지 속에 들어있던 깨알 같은 씨들은 성긴 솜털을 달고 산들거리는 봄바람 따라 이리저리

날아다닌다. 


무성한 뿌리가 물 속의 질소나 인산을 양분으로 흡수하기 때문에, 오염된 물가에 심으면 물이 정화된다. 가지를 곱게 벗겨 버들피리를 만들어 불기도 한다.

꽃이 핀 가지는 꽃꽂이 재료로 많이 사용한다. 4∼5월에 덜 익은 열매를 식용하며, 껍질과 뿌리는 약용한다. 


버드나무는 여인의 나무다. 중국의 장조(張潮)는 "버들은 만물 가운데서 가장 사람의 마음을 때리며 감상적으로 만든다"고 했다.

임어당(林語堂)은 "솔은 장대한 기품 때문에 뭇 사람들의 환영(歡迎)을 받고, 매화는 낭만적 기품 때문에 만인의 애상(哀想)을 받고, 버들은 날씬한 가인(佳人)을 연상케하는 기품이 있어 만인의 사랑(愛)을 받는다"고 했다. 이같이 동양에서는 소나무와 대나무는 선비로, 버들은 여인으로 비유한다.  


봄에 물기 오른 갯버들의 꽃망울을 굽어보고 있노라면 아리따운 선녀를 마주 대하는 듯 그지없이 기껍다. 그 함함한 솜털엔 감히 손 댈 수 없는 순결함이 배어있고, 붉고 노란 수술의 꽃가루는 숨조차 멈추게 한다. 보기에 아깝고 만지기에 설레는 그 꽃을 꿀벌은 어루만지며 부비고 다닌다. 봄에는 나도 꿀벌이 되고 싶어진다.  


문득, 어디선가 삐르르~ 버들피리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싸목싸목 다가오는 봄을 재촉하듯 아이들은 버들피리를 불며 봄을 꼬드겼다. 물오른 갯버들 가지를 새끼손가락 길이만큼 토막 내어 살짝 비틀어서 안의 목질부를 빼내면 껍질 대롱이 남는다. 대롱의 한쪽을 납작하게 눌러 겉껍질을 벗겨내면 자연의 피리가 되는 것이다. 꼬맹이들은 산새들과 견주듯 버들피리를 불며 신나게 불며 봄놀이를 했었다.  


봄이 되니 사방이 온통 난리다. 명령을 기다리던 병사들이 나팔소리에 뛰쳐나가듯 봄꽃들이 여기저기서 막무가내로 피어난다.

꽃다지, 봄맞이꽃, 제비꽃, 냉이, 별꽃 등은 볕 좋은 양지에서 작고 수수한 꽃을 피우며 봄바람에 살랑거리고, 팬지, 페튜니아, 프리뮬러, 메리골드 등은 크고 화려한 꽃으로 사람들의 눈길을 잡아 당긴다. 

 

시장에 가면 볼거리가 많아 어디에 눈을 둬야 하는지 모르듯, 봄에는 어느 꽃에 눈길을 주어야 하는지 모를 정도로 갖은 꽃이 핀다. 무심코 지나치면 눈에 들어오지 않을 버들강아지가 내 눈에 들어와 나를 반하게 한 것은 한 도구 때문이다.


도구란 어떤 기능을 도와주는 보조기구인 것이다. 시력보조도구인 안경을 통해 사물을 보면 모양이 또렷하고 색깔이 선명하게 보인다.  

카메라를 통해 꽃을 보면 맨 눈으로 불 수 없었던 그 꽃의 숨은 매력까지도 고스란히 볼 수 있다. 점심식사 후 산책을 하다가 아직 뽀송뽀송한 솜털에 가려진 버들강아지의 겨울 꽃눈을 디지털카메라에 담았는데, 카메라를 통해 보는 버들개지의 모습이 너무 아름다워 틈틈이 디카에 담았다. 디카 도구를 이용하면 작아서 지나치기 십상이고 자세히 볼 수 없었던 것을 세밀하게 또렷이 볼 수 있어 또 다른 흥미와 감탄을 얻는다.

안경과 카메라처럼 좋은 도구가 있어 사물을 선명하고 새롭게 볼 수 있듯이, 각각의 사람들도 가정과 사회에서 도구로 쓰임 받으면 봄날처럼 활기차고 즐거운 세상이 될 것이다. 


4월, 봄의 길라잡이인 버들강아지를 따라 봄의 오솔길로 걸어가자. 그곳은 비밀의 화원처럼 신비함이 숨어 있는 곳, 버들강아지는 봄이 왔음을 온 몸으로 알린다. 그 함함한 모양이 얼마나 기꺼운가? 

 

-종이인형-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