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벼_규산질비료
★ 이천시 벼농사 작업일정(중만생종인 ‘추청’ 품종 기준)
논갈이 및 거름주기(3월) ⇒ 볍씨 준비(4월 상순) 및 파종(4월 중순) ⇒ 모내기(5월 중순) ⇒ 중간물떼기(7월 상순) ⇒ 이삭거름(8월 하순) ⇒ 이삭패기(8월 중순) ⇒ 벼베기(10월 상순)
■ 시기: 포대에 들어있는 규산질비료는 밑거름(화학비료)보다 2주 이상 일찍 주기 바랍니다.(2월 상순~4월 상순)
※ 입상규산질비료(20kg/포)에는 규산성분(25%)뿐만 아니라 석회성분(40%)도 들어있습니다. 질소성분이 있는 밑거름(요소, 유안)과 만나면 석회성분 때문에 화학반응을 일으켜 질소성분이 공기 중으로 사라지므로 밑거름 주기 2주 이전까지 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벼는 생육 전반에 걸쳐 규산을 흡수하므로 어느 시기에 주어도 효과를 봅니다. 시중에서 판매하는 ‘수용성규산’은 규산성분만 추출하였기 때문에 살포시기에 지장이 없습니다.
■ 살포량: 규산질비료 살포량은 10a(300평)당 10~12포입니다.
※ 정부에서는 3년 간격으로 규산질비료를 무상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2019년에 신청을 받아 2020~2022년에 지역별로 공급을 합니다.
● 논의 적정한 유효규산 함량은 논흙 1kg에 157mg 이상입니다.
※ 신둔면의 평균 유효규산 함량은 105mg입니다. 매년 규산질비료를 논에 투입하길 권합니다.
■ 효과: 규산은 벼의 잎과 줄기가 단단하게 해서 쓰러짐과 병해충을 줄입니다. 잎의 자세가 좋아져서 햇빛을 잘 받아 생육이 왕성하고 잘 여물어 밥맛을 좋게 합니다.
● 쌀 생산에 필요한 규산의 양은 질소보다 8배나 많으며, 쌀 500kg을 생산할 때 120kg의 규산이 소비됩니다.
※ 볏짚에는 규산성분이 10%나 들어있으므로 벼 수확 후 볏짚은 논으로 되돌려주시기 바랍니다.
더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유튜브를 참고하세요.
♤벼_볍씨소독(4월1주) (0) | 2019.04.02 |
---|---|
♤마늘_잎집썩음병(3월4주) (0) | 2019.03.29 |
♤감자_이랑 만들고 씨감자 심기(3월3주) (0) | 2019.03.18 |
♤감자_토양 및 씨감사 소독(3월2주) (0) | 2019.03.13 |
감자_싹틔우기 및 자르기 (3월2주) (0) | 2019.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