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물관리 모내기 후 뿌리 활착을 촉진시켜 식상(몸살)을 완화하고, 제초제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물을 깊게(5~6㎝) 유지한다. 제초제처리 5~7일 후에는 분얼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물을 얕게(2~3㎝) 유지함.
중간 물떼기 지력이 낮고 누수가 심한 논에서는 오히려 토양 중의 질소 유실로 인해 수량감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중간물떼기 후에는 갑작스런 담수는 피하고 2일 물대기, 1일 배수로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도록 한다. 시기는 출수 전 40일부터 30일 사이에 논바닥이 갈라질 정도로 한다. 너무 일찍 중간물떼기를 하면 질소이용율이 떨어지고 잡초발생율이 많으며, 너무 늦으면 헛새끼치기의 억제효과가 떨어진다.
출수기 후 물관리 유숙기 이후는 쌀 품질과 관련되므로 이삭 팬 후 40일경 까지는 논물을 유지하며, 한번 댄 물이 완전히 잦아지고 2~3일 지난 후에 다시 물을 대주는 요령으로 걸러대기를 실시한다. 수확작업에 지장이 없는 한 수확 직전까지 물을 대준다.
요수량 • 식물체 1g을 생산하는데 소비한 물의 증산량, 벼 250~350g, 보리 532g, 콩 736g, 감자 636g. 벼 생리작용에 필요한 물은 토양 최대용수량의 85~95% 정도, 즉 토양함량이 포화상태이면 알맞다. 관개수의 대부분은 환경수로 양분의 공급과 흡수조절, 수온 및 지온의 조절, 토양환원과 산화의 조절, 병해충 경감, 잡초의 발생억제, 간척지에서의 염분 상승 억제 등의 역할
필요한 물의 양 • 쌀 100g을 생산하는게 필요한 물량은 69㎘, 10a당 쌀 500kg 생산에 물 345㎘ 필요 • 여름 고온기에 논의 수면이나 벼를 통해 증발되는 물의 양은 하루에 6mm로 6톤/10a
|
★ 생육단계별 논 물관리
❚ 이앙기(모내기) • 얕게 대기(2~3cm), 모내기 당일(5월 중순)
❚ 활착기(뿌리내림) • 깊게 대기(5~7cm), 모내기 후 3~7일(5월 하순) 이앙 후 새뿌리가 신장하기까지는 수분 흡수량은 적으나 지상부 잎과 줄기에서 증산량이 많으면 잎이 마르므로 증산을 억제하기 위해 물을 깊이 댄다. 뿌리가 자리잡기 전에 바람이 불면 모가 흔들리므로 물을 깊게 대어 흔들림을 막고, 저온기에 활착을 촉진한다. 잡초의 발아도 억제함
❚ 분얼성기(유효분얼기; 참새끼칠 때) • 얕게 대기(2~3cm), 모내기 후 20일(6월 상~중순) 뿌리보다는 생장점이 있는 줄기 아랫부분의 온도교차가 클수록 분얼이 잘 되므로 물을 얕게 대어 낮에는 수온을 높여주고 밤에는 수온을 낮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물을 깊게 대면 분얼이 억제되거나 늦어지며, 벼가 연약하게 자라서 병해충의 저항성도 약해진다. 새끼치기 초기는 제초제 약효 향상을 위해 논의 마른 부분이 없도록 물대기를 해야 한다.
❚ 분얼말기(무효분얼기: 헛새끼칠 때) • 중간 물떼기, 출수 40~30일전, 10일간, 7월 초~중순 벼의 일생 중 가장 물을 적게 필요로 하는 시기다. 수온과 지온의 상승으로 토양 중 질소의 효과와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해지며, 산소가 부족해져 환원이 급격히 진행되어 뿌리를 해치는 유해가스가 발생된다. 담수에 의한 토양환원으로 생긴 유기산 등 유해물질을 배제시켜 뿌리썩음을 방지하고 활력을 촉진하여 노화 방지 논상태를 밭상태로 전환시켜 토양 중의 암모니아태 질소를 질산태질소로 변화시켜서 질소의 과잉흡수를 억제하여 헛새끼치기를 억제하고, 벼의 지상부를 튼튼하게 하여 쓰러짐을 방지한다.
❚ 유수형성기~수잉기 • 물 걸러대기: 뿌리에 산소 공급이 잘 되도록 2~3cm 얕게 물 걸러대기(3일 관수와 2일 배수 반복) • 출수 30일 전~출수기
❚ 출수기(이삭 팰 때) • 물 보통대기(3~4cm), 8월 중순
❚ 등숙기(이삭 여물 때) • 물 걸러대기(2~3cm), 3일 관수와 2일 배수 반복, 8월 하순~9월 하순
❚ 낙수기 • 완전 물떼기, 이삭 팬 후 30~40일 전후(9월 하순) • 물을 일찍 떼면 수량이 떨어지고, 덜 여무는 쌀이 많아지고, 완전미 비율이 낮아져 품질이 낮아지고 밥맛이 나빠짐
★ 벼 생육기간 중 본논 물높이
★ 물관리 효과
❚ 관수효과 • 양분공급, 온도와 염류농도 조절, 농약효과 증대, 잡초억제
❚ 배수효과 • 토양 중 각종 유기산을 배제하고, 벼 뿌리에 산소공급으로 뿌리의 활력유지에 의한 양․수분 흡수 증대 • 뿌리의 심층분포와 지상부 조직의 강건으로 도복에 대한 저항성 증대
❚ 품질관리 • 물을 일찍 떼면 수량감소, 청미와 미숙립 등 불완전립 증가, 아밀로스와 단백질 함량이 증가되고 Mg/K 당량비도 감소되어 식미가 떨어짐
★ 성장단계별 물관리 효과 • 이앙기: 모를 얕게 심어 식상경감 및 증산억제 • 활착기: 증산을 줄이고 뿌리의 활착을 촉진함 • 분얼성기: 분얼을 촉진. 유효 줄기수 18개 내외 확보 • 무효분얼기: 무효분얼 억제, 유해물질 제거, 도복 방지 • 유수형성기~수잉기: 뿌리기능 촉진, 유해물질 제거 촉진 • 출수기: 꽃가루받이 촉진 • 등숙기: 등숙양호, 뿌리기능 유지, 유해물질 제거 • 낙수기: 품질을 좋게하며 수확 농작업을 편리하게 함
|
농업환경_벼농사6 (0) | 2013.01.10 |
---|---|
도복관리_벼농사5 (0) | 2013.01.09 |
생육단계별 관리_벼농사3 (0) | 2013.01.07 |
재배월령_벼농사2 (0) | 2013.01.04 |
재배관리 요약_벼농사1 (0) | 2013.01.03 |